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모든 국민들은 출생신고와 함께 주민등록번호를 발급받습니다. 1968년부터 시행이 되고 지금까지 체계는 큰 변화가 없이 사용이 되고 있는데요, 최근 개인정보 유출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개편을 해야한다는 목소리도 들리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는 주로 웹사이트에 가입을 하기 위해서 실명 인증을 받거나, 중복 가입 등에 주로 사용을 하는데요, 다양한 인증방법이 생기면서 끝까지 작성하는 곳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총 13자리로 구성이 되어 있고 자신의 것은 꼭 외우고 있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를 아시는 분들은 많지 않다고 합니다.
앞자리는 대부분이 알고 계시는 생년월일을 표기한 것인데요, 예를 들어서 1998년 8월 5일에 태어났다면 980805로 표기가 되고, 2002년 10월 21일에 태어났다면 021021 라고 표기를 합니다.
앞자리에 대해서 확인을 하였고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를 알아보고 가겠습니다. 순서대로 말씀을 드리면 성별 및 태어난 연도, 출생신고를 한 곳, 접수 순번, 위조방지 검증번호 순으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안다면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만 봐도 어느 지방 출신이고 내국인이지, 외국인인지 알 수가 있습니다.
아래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중에 출생신고를 한 읍이나 면, 동사무소의 고유번호를 나타낸 것으로 각 대도시와 지역에 따라서 구분이 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한번 자신의 민증을 가지고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를 살펴보았는데, 평소에는 쉽게 지나칠 수도 있는 숫자지만 과학적으로 체계적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는 것에 신기하고 재미가 있는 거 같습니다.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트코 회원가입 알아보기 (0) | 2016.10.02 |
---|---|
현대자동차 개인리스 확인 (0) | 2016.10.01 |
소카 이용법 체크하기 (0) | 2016.09.29 |
민방위사이버교육 확인 (0) | 2016.09.28 |
EML파일 열기 (0) | 2016.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