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

4대보험료 계산기 확인

by *_+ 2016. 8. 29.

직장을 다니시는 분들은 하루하루 지치고 스트레스를 받는 일이 허다합니다. 하지만 한 달에 한번 기다리는 날이 있기 마련입니다. 저도 매달 말일을 기다리면서 일을 하는데요, 누구나 받는 순간만 좋아하는 월급입니다. 다니시는 곳과 일에 특성에 따라서 받으시는 급여명세서에 내용은 차이가 있곤 하는데요, 공통적으로 빠져나가는 항목이 있습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 보험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 우리가 흔하게 알고 있는 4대보험료가 동일한 조건으로 급여명세서에서 공제가 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국가가 직접 운영하는 연금제도로 일정 나이가 지나거나 특별한 이유로 인해서 소득이 중단이 되는 경우 그 동안 납입하였던 돈을 받을 수 있는 제도 입니다. 건강보험은 병원과 관련하여 입원을 하거나 치료를 받았을 경우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입니다.

 





 

 

고용보험과 산재 보험은 직장을 다니시는 분들이 직장을 그만 두었을 경우 생활 안정을 위해서 일정 금액을 제공하는 제도, 근무를 하다가 사고가 났을 경우 국가에서 보상을 해주는 제도입니다. 이렇게 우리가 살아가면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서 징수가 되는 4대보험료로 급여에서 공제가 되는데요, 받는 돈에 따라서 내는 돈을 계산기를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사이트를 검색하셔서 4대보험료 계산기를 사용을 해보실 텐데요, 위에 사이트를 보시면 그 외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가 있습니다. 4대보험료 계산기는 사이트 하단에 위치해 있는데요, 스크롤을 내리다 보면 쉽게 찾을 수가 있습니다.

 

 

 

클릭을 하시면 아래와 같은 팝업 창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곳에서는 4대 보험인 연금, 고용보험료, 국민건강보험, 산재보험을 쉽고 간단하게 계산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사용법은 신고소득월액을 입력하신 후 계산하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연금을 계산해보도록 하겠는데요, 신고소득액을 임의로 입력을 한 후에 4대보험료 계산기를 이용해서 결과를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은 값에 결과를 확인할 수가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계산기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자신의 월급에서 공제가 되는  4대보험료를 계산을 해보았는데요, 미리 알고 계신다면 많은 도움이 되실 거 같다고 생각을 하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인민원발급기 위치  (0) 2016.08.31
기름값 계산기 확인  (0) 2016.08.30
최저임금 계산법 알아보기  (0) 2016.08.27
민국저축은행 햇살론 알아보기  (0) 2016.08.26
부의금 봉투 쓰는법  (0) 2016.08.25

댓글